살로메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로메 1세는 헤로데 대왕의 여동생으로, 여러 차례 결혼과 이혼을 통해 복잡한 가족 관계를 형성했다. 그녀는 헤로데 대왕의 삼촌인 요셉 1세와 결혼했으나, 요셉 1세가 헤로데의 아내 미리암네 1세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고 모함하여 죽게 만들었다. 이후 코스토바루스와 결혼하여 안티파테르 4세, 베레니케, 그리고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을 두었으나 코스토바루스와 이혼하고 그를 반역죄로 고발하여 처형시켰다. 살로메는 당시 유대 율법에 어긋나는 결혼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 번째 남편은 알렉사스 1세였다. 살로메는 궁정 암투에 깊이 관여하여 헤로데가 아내 미리암네 1세와 두 아들을 처형하는 데 영향을 미쳤고, 헤로데의 첫째 아들 안티파테르 3세를 편애하도록 부추겼다. 헤로데 사후에는 야브네, 아스돗, 파사엘리스 등을 상속받았으며, 사망 후 자신의 재산을 황후 율리아에게 기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년 사망 - 견풍
견풍은 전한 시대 여러 관직을 거쳐 왕망의 측근으로 부상하여 신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나, 혼란 속에서 몰락해 자결한 인물로, 왕망의 개혁을 옹호했으나 측근 정치로 신나라 몰락을 가속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기원전 65년 출생 - 호라티우스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는 노예 출신 아버지 밑에서 교육받고 전투 경험을 쌓은 후 마이케나스의 후원을 받아 사비나 농장에서 시 창작에 전념하며 풍자시, 서정시, 서간시, 시론 등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작품들을 남겼고, 그의 작품은 고대 로마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하여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기원전 65년 출생 - 공광
공광은 공자의 14대 손으로, 전한 시대에 승상, 대사도, 태사 등을 역임했으며, 왕망의 권력 장악 과정에서 견제를 받아 태부로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지 못하고 사망하여 간열후의 시호를 받았다. - 1세기 여자 통치자 - 부디카
부디카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이케니족을 이끌고 로마에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며, 남편의 죽음 이후 로마의 부당한 처사에 분노하여 봉기했으나 와트링 가도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하거나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세기 여자 통치자 - 아마니토레
아마니토레는 고대 누비아의 통치자로, 나타카마니와 공동 통치했으며, 쿠시의 마지막 위대한 건설자 중 한 명으로 메로에의 대규모 사원 건설과 저수지 건설에 기여했다.
살로메 1세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살로메 |
다른 이름 | 슐로미트 (שלומית) |
직업 | 헤로데 왕조의 여왕 통치자 |
출생 | 기원전 65년경 |
사망 | 서기 9년에서 10년 사이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안티파트로스 |
배우자 | 요세프 (헤로데의 삼촌) 코스토바르 알렉사스 |
자녀 | 베레니케 (코스토바르와의 자녀) 안티파테르 (코스토바르와의 자녀) |
통치 정보 | |
재위 기간 | 기원전 4년 - 서기 9년에서 12년 사이 |
기타 | |
참고 | 헤로데의 여동생 |
2. 생애
살로메 1세는 헤로데 대왕의 여동생으로, 복잡한 결혼 생활과 궁정 암투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헤로데 왕가와 로마 제국 사이의 관계에서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살로메는 처음에는 헤로데 대왕의 삼촌인 요셉 1세와 결혼했으나, 그를 미리암네 1세와의 불륜 혐의로 고발하여 처형되게 했다.[2] 이후 코스토바루스와 재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으나, 유대 율법을 어기고 이혼한 뒤 그를 반역죄로 고발하여 처형시켰다.[2][3] 그녀의 세 번째 남편은 알렉사스 1세였다.[2]
그녀의 딸 베레니케는 헤로디아스, 유다 왕 헤로데 아그리파 1세 등 여러 자녀를 두었는데, 이들은 훗날 유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살로메는 헤로데 궁정의 암투에 깊이 관여하여, 미리암네 1세와 그녀의 두 아들을 처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또한 헤로데의 첫째 아들 안티파테르 3세를 편애하도록 부추기기도 했다.[4]
기원전 4년 헤로데 대왕이 죽은 후, 살로메는 이암니아, 아조투스, 파사엘리스 등의 도시와 아스칼론 왕궁을 통치했다. 그녀는 명목상 여왕이었지만, 실제로는 유다 총독의 지배를 받았다.[5]
살로메가 죽은 후, 그녀의 영지는 로마 황후 리비아를 거쳐 티베리우스 황제에게 상속되었다.[5]
2. 1. 첫 번째 결혼과 코스토바루스와의 이혼
살로메 1세는 처음에 요셉 1세(헤로데 대왕의 삼촌)|Józef I (stryj Heroda Wielkiego)pl와 결혼했으나, 요셉 1세가 헤로데의 아내인 미리암네 1세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고 고발하여 그를 죽게 만들었다.[2] 이후 살로메는 코스토바루스와 두 번째 결혼을 하였고, 그와의 사이에서 세 자녀를 두었다. 자녀는 미리암네 1세의 딸인 키프로스 2세와 결혼한 안티파테르 4세, 아리스토불루스 4세와 첫 번째 결혼을 하고 헤로데의 첫 번째 아내 도리스의 형제인 테우디온과 두 번째 결혼을 한 베레니케, 그리고 알렉사의 아들 알렉사스(성전 재무관)와 결혼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이었다.[3] 요세푸스(''유대 고대사'' 15.7.10)에 따르면, 살로메는 당시 유대 율법에 어긋나는 결혼을 했다. 요세푸스는 살로메가 코스토바루스와 다투게 되자 이혼장을 보내 결혼을 파기했는데, 이는 유대 율법에 어긋나는 일이었다고 기록했다. 유대 율법에는 남편은 이혼할 수 있지만, 아내는 남편을 떠나 스스로 다른 사람과 결혼할 수 없었다. 그러나 살로메는 자신의 나라의 율법이 아닌 권위에 따라 결혼을 포기했다.[2] 이후 살로메는 코스토바루스를 헤로데에 대한 반역죄로 고발했고, 헤로데는 그를 처형했다.2. 2. 코스토바루스의 처형과 세 번째 결혼
살로메는 헤로데 대왕의 삼촌인 요셉 1세와 처음 결혼했으나, 요셉이 헤로데의 아내인 미리암네 1세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고 고발하여 그를 죽게 만들었다.[2] 이후 살로메는 코스토바루스와 재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 자녀는 미리암네 1세의 딸인 키프로스 2세와 결혼한 안티파테르 4세, 아리스토불루스 4세와 결혼했다가 헤로데의 첫 번째 아내 도리스의 형제인 테우디온과 재혼한 베레니케, 그리고 알렉사의 아들 알렉사스(성전 재무관)와 결혼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이다.[3]요세푸스(''유대 고대사'' 15.7.10)에 따르면, 살로메는 코스토바루스와 다투게 되자 이혼장을 보내 결혼을 파기했는데, 이는 당시 유대 율법에 어긋나는 일이었다. 유대 율법은 남편의 이혼은 허용했지만 아내가 남편을 떠나려면 이전 남편이 허락해야만 다른 사람과 결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살로메는 유대 율법이 아닌 자신의 권위에 따라 결혼을 포기했다고 한다.
이후 살로메는 코스토바루스를 헤로데에 대한 반역죄로 고발했고, 헤로데는 그를 처형했다. 살로메의 세 번째 남편은 알렉사스 1세였다.[2]
2. 3. 베레니케의 자녀들
살로메 1세는 코스토바루스와의 사이에서 세 자녀를 두었다.[3]- 안티파테르 4세: 미리암네 1세와 헤로데 대왕의 딸인 키프로스 2세와 결혼했다.
- 베레니케: 아리스토불루스 4세(헤로데의 아들)와 첫 번째로 결혼, 테우디온(헤로데의 첫 번째 아내 도리스의 형제)과 두 번째로 결혼했다.
-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 알렉사의 아들 알렉사스(성전 재무관)와 결혼했다.
베레니케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3]
- 헤로디아스
- 유다 왕 헤로데 아그리파 1세
- 칼키스의 헤로데
- 아리스토불루스 마이너
- 마리암네 3세: 삼촌인 헤로데 아르켈라우스(유다의 민족 지도자)의 첫 번째 아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2. 4. 궁정 암투에서의 역할
살로메 1세는 헤로데 대왕의 궁정 암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헤로데의 아내 미리암네 1세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는 이유로 자신의 첫 남편 요셉 1세를 고발하여 죽게 만들었다.[2]이후 두 번째 남편 코스토바루스와 사이에서 세 자녀를 두었다.
자녀 이름 | 설명 |
---|---|
안티파테르 4세 | 미리암네 1세의 딸인 키프로스 2세와 결혼 |
베레니케 | 헤로데의 아들인 아리스토불루스 4세와 결혼, 이후 헤로데의 첫 번째 아내 도리스의 형제인 테우디온과 결혼 |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 | 알렉사의 아들 알렉사스(성전 재무관)와 결혼 |
살로메는 코스토바루스를 헤로데에 대한 반역죄로 고발하여 헤로데가 그를 처형하게 만들었다. 살로메의 세 번째 남편은 알렉사스 1세였다.[2]
요세푸스(''유대 고대사'' 15.7.10)에 따르면 살로메는 헤로디아스처럼 당시 유대 율법에 어긋나는 결혼을 했다고 한다. 요세푸스는 살로메가 코스토바루스와 다툰 후 이혼장을 보내 결혼을 파기했는데, 이는 유대 율법에 어긋나는 일이었다고 기록했다. 유대 율법에서는 남편은 이혼할 수 있지만, 아내는 남편을 떠나 스스로 다른 사람과 결혼할 수 없었다. 그러나 살로메는 자신의 권위를 내세워 결혼을 포기했다.[3]
살로메는 헤로데가 아내 미리암네 1세와 두 아들을 처형하도록 이끌었으며, 헤로데가 그의 첫째 아들 안티파테르 3세를 편애하도록 부추겼다. 헤로데가 죽은 직후 그가 구금했던 유대 장로들을 처형하라는 헤로데의 마지막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4]
2. 5. 헤로데 대왕 사후 통치
헤로데 대왕 사후, 살로메 1세는 그의 아들들인 헤로데 아르켈라오스, 헤로데 안티파스, 헤로데 필리포스와 함께 팔레스타인을 4분할 통치했다. 살로메 1세의 영지는 다른 통치자들에 비해 작았지만, 이암니아, 아조투스, 파사엘리스 등의 도시와 5000고대 드라크마를 포함했다.[4] 또한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아스칼론의 왕궁을 그녀에게 추가로 제공했다.[5] 살로메 1세는 이 지역의 명목상 여왕이었지만, 실제로는 유다 총독의 지배를 받았다.[5]살로메 1세는 오빠인 헤로데 대왕보다 12~14년 정도 더 살았으며, 사망 후 자신의 재산을 황후 리비아에게 기증했다. 이후 이 재산은 리비아의 아들 티베리우스에게 상속되었다.[5]
2. 6. 사망과 유산
헤로데 대왕 사후, 살로메 1세는 그의 아들들인 헤로데 아르켈라오스, 헤로데 안티파스, 헤로데 필리포스와 함께 팔레스타인을 분할 통치했다. 하지만 살로메 1세의 영지는 조카들에 비해 훨씬 작았고 몇몇 도시에 불과했다. 이들은 '왕' 또는 '여왕'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역사학적으로는 테트라키아(사두왕국, 사두정치지)로 불린다.살로메 1세는 오빠 헤로데 대왕이 죽은 후 12~14년 정도 더 살았으며, 사망 후 자신의 재산을 황후 율리아에게 기증했다(『유대고대지』 제XVII 권2장2절에서).[2]
기원전 4년 헤로데 대왕이 죽자, 살로메 1세는 토포라키를 받았는데, 여기에는 이암니아, 아조투스, 파사엘리스 및 5000고대 드라크마가 포함되었다.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여기에 아스칼론의 왕궁을 추가로 제공했다. 살로메 1세는 명목상 이 지역의 여왕이었지만, 실제로는 유다 총독의 지배를 받았다.
살로메 1세가 죽은 후, 이암니아는 로마 황후 리비아에게 넘어갔고, 이후 리비아의 아들 티베리우스에게 상속되었다.[5]
3. 가계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코스토바루스 | 헤로데 대왕에 대한 반역죄로 처형[2] |
첫 번째 남편 | 요셉 1세 (헤로데 대왕의 삼촌)|Józef I (stryj Heroda Wielkiego)pl | 미리암네 1세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는 이유로 처형[2] |
두 번째 남편 | 코스토바루스 | |
세 번째 남편 | 알렉사스 1세|Aleksas Ipl[2] | |
딸 | 베레니케 | 아리스토불루스 4세와 결혼, 헤로디아와 아그리파 1세의 어머니 |
아들 | 안티파테르 4세 | 미리암네 1세의 딸 키프로스 2세와 결혼[3] |
딸 | 미상 | 알렉사의 아들 알렉사스(성전 재무관)와 결혼[3] |
3. 1. 조부모 및 부모
살로메 1세의 조부모에 대한 정보는 원본 텍스트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살로메 1세의 아버지는 코스토바루스이다. 살로메 1세는 코스토바루스와 결혼했으나, 유대 율법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이혼하고 그를 헤로데 대왕에 대한 반역죄로 고발하여 처형되게 하였다.[2] 어머니에 대한 정보는 원본 텍스트에 나타나 있지 않다.
3. 2. 자녀
살로메 1세는 코스토바루스와의 사이에서 세 자녀를 두었다.[3]- 안티파테르 4세: 미리암네 1세와 헤로데 대왕의 딸인 키프로스 2세와 결혼했다.
- 베레니케: 아리스토불루스 4세와 결혼하여 헤로디아스와 유다 왕 헤로데 아그리파 1세 등의 자녀를 두었다.
-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 알렉사의 아들 알렉사스(성전 재무관)와 결혼했다.
베레니케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 헤로디아스
- 유다 왕 헤로데 아그리파 1세
- 칼키스의 헤로데
- 아리스토불루스 마이너
- 마리암네 3세
3. 3. 손주
베레니케의 자녀는 헤로디아스, 유다 왕 헤로데 아그리파 1세, 칼키스의 헤로데, 아리스토불루스 마이너, 마리암네 3세이다. 마리암네 3세는 삼촌인 헤로데 아르켈라우스의 첫 번째 아내였을 수도 있다.[3]참조
[1]
서적
Women in World History: A Biographical Encyclopedia
http://www.highbeam.[...]
Gale
2002
[2]
간행물
Salome
https://www.biblical[...]
Cyclopædia of Biblical,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Literature
[3]
문서
Josephus, War, p. 105
[4]
웹사이트
Salome I
http://virtualreligi[...]
historical sourcebook by Mahlon H. Smith
[5]
웹사이트
Jabneh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6]
서적
『ユダヤ古代誌』第XVIII巻2章2節に「(ユダヤ総督)アムビブロス(表記ゆれで「アンビブルス」とも)の在任中に王ヘロデの妹のサロメが亡くなった」という記述があり、別の記録からアムビブロスの在任期間が西暦9-12年頃とされているのでサロメの死亡時期はこの間である。
株式会社教文館
2012
[7]
서적
E・シューラー『イエス・キリスト時代のユダヤ民族史 II』
株式会社教文館
2012
[8]
문서
『ユダヤ古代誌』第XVII巻11章でヘロデの領土分配の説明があり、彼女の支配地はヤムニア・アゾトス・ファサエロスなどの町とそこの付属の土地、並びにアスカロンの王宮などであ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